맨위로가기

완주군의 농어촌버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완주군의 농어촌버스는 완주군과 전주시의 시내버스 및 마을버스 체계를 포괄하며, 요금 및 환승 체계, 노선 정보를 제공한다. 전주시와 완주군은 기본 요금을 공유하지만, 완주군 외 지역으로 이동 시 구간 요금이 적용된다. 완주군 고유의 300번 시내버스는 고산 이북 지역을 운행하며, 마을버스는 대중교통 접근성이 낮은 지역의 교통 편의를 위해 완주군에서 직영한다. 또한, 수요응답형 버스인 행복콜버스를 운영하여 주민들의 이동을 지원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군산시의 시내버스
    군산시 시내버스는 2002년 노선 개편 후 단일 체계를 유지하며 2009년 대한민국 최초로 모든 버스를 천연가스버스로 교체, 새만금 방조제 연결로 신설 노선이 생겼고, 근대관광 활성화를 위한 버스 신설 등 대중교통 인프라 확충을 통해 지역 발전에 기여하며, 현재는 인구 변화에 따른 노선 조정 및 스마트 대중교통 시스템 구축을 위해 노력 중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버스 교통 - 익산시의 시내버스
    익산시의 시내버스는 익산시 전역을 운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으로 도시순환, 좌석, 간선, 일반 버스 등 다양한 노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카드 이용 시 환승이 가능하고 시민 편의 증진을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 완주군의 교통 - 국도 제1호선
    국도 제1호선은 전라남도 목포시에서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까지 연결되는 일반 국도로, 조선 시대부터 주요 도로로 이용되었으며, 여러 차례의 변화를 거쳐 현재 광주광역시, 전북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세종특별자치시, 경기도, 서울특별시 등을 경유하며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도로로 지정되어 있다.
  • 완주군의 교통 - 신리역
    신리역은 1931년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보통역으로 승격되었고, 1981년 현 역사가 완공되었으나, 2010년 여객 취급이 중지된 전라선에 위치했던 역이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홍성군의 농어촌버스
    홍성군의 농어촌버스는 충남교통운수에서 시작하여 홍주여객이 주요 운수업체로서 노선번호제를 통해 운영 체계를 개선하였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노선번호와 함께 2024년 1월 기준 카드 1,400원, 현금 1,500원의 운임이 적용된다.
  • 대한민국의 버스 노선 - 담양군의 농어촌버스
    담양군의 농어촌버스는 담양군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대중교통 수단으로, 단일 요금제를 적용하며, 동광담양고속이 운행한다.
완주군의 농어촌버스
버스 정보
지역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전주시
구분농어촌버스
관리 기관완주군청 건설교통과
전주시청 교통과
서비스 지역전북특별자치도 완주군, 전주시
기타 지역충청남도 논산시, 금산군
결제 정보
지불 수단교통카드, 현금
선불 카드마이비, 캐시비, 티머니, 레일플러스, 한페이
후불 카드국민, 농협, 롯데M형과 MT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BC, 삼성, 신한,
하나, 현대M형만 사용가능, T형은 사용불가
관련 웹사이트
완주군 농어촌버스 시간표완주군 농어촌버스 시간표
완주군 마을버스완주군 마을버스

2. 요금 및 환승 체계

전주시완주군은 일부 시내버스 노선과 전주 버스 300번에 대해 통합된 요금 체계를 적용하여 운영하고 있다. 마을버스는 별도의 단일 요금이 적용된다. 다만, 전주 버스 300번은 원칙적으로 전주시의 시내버스 정기권 사용이 불가능하다. 자세한 요금 및 환승 규정은 아래 하위 문단을 참고한다.

2. 1. 요금표

전주시완주군 내에서는 전주시의 시내버스 노선과 전주 버스 300번은 아래 표와 같이 단일화된 기본 요금을 적용받는다. 마을버스는 나이나 결제 수단에 관계없이 500원의 단일 요금을 적용한다.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
전주시의 시내버스 노선
전주 버스 300
어른 (만 19세 이상)1,5001,450
청소년 (만 13세 ~ 18세)1,2001,150
어린이 (만 7세 ~ 12세)750700
마을버스(나이, 결제수단 무관)500


  • 전주시의 시내버스 일부 노선과 전주 버스 300번은 완주군 밖으로 나갈 경우, '''전주시 경계'''부터 km당 약 141원의 구간요금이 추가로 부과된다.
  • 마을버스와 전주시의 시내버스 간에는 2회까지 환승이 가능하다.
  • 마을버스에서 시내버스로 환승 시 성인 기준으로 차액 950원이 부과된다.
  •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환승 시에는 하차 태그 후 90분 이내에 환승해야 추가 요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 전주 버스 300번은 원칙적으로 전주시의 시내버스 정기권 사용이 불가능하다.

2. 2. 환승 체계

전주 시내버스와 완주군 마을버스 간에는 총 2회까지 환승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마을버스 → 시내버스 → 시내버스 순서 또는 그 반대 순서로 이용할 수 있다.

마을버스에서 시내버스로 환승할 경우, 성인 기준으로 시내버스 요금(카드 기준 1450KRW)과 마을버스 요금(500KRW)의 차액인 950KRW이 부과된다. 반대로 시내버스에서 마을버스로 환승할 때는 하차 시 단말기에 카드를 태그한 후 90분 이내에 환승해야 요금 할인이 적용된다.

전주 버스 300번은 원칙적으로 전주 시내버스 정기권 사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전주 버스 300번과 일부 시내버스 노선은 전주시완주군 내에서는 단일 기본 요금이 적용되지만, 완주군 경계를 벗어나 운행하는 경우에는 전주시 경계부터 이동 거리에 따라 구간요금이 추가된다. 구간요금은 km당 약 141KRW 수준이다.

종류나이현금 (원)카드 (원)
전주시 시내버스 노선
전주 버스 300번
어른 (만 19세 이상)1500KRW1450KRW
청소년 (만 13세 ~ 18세)1200KRW1150KRW
어린이 (만 7세 ~ 12세)750KRW700KRW
마을버스(나이, 결제수단 무관)500KRW


3. 시내버스 노선

완주군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는 크게 전주시의 시내버스와 연계되는 노선, 완주군 고유의 300번 노선, 그리고 인접한 논산시와 연결되는 노선으로 나눌 수 있다.

전주시완주군을 오가는 시내버스 노선은 전주시의 시내버스 체계에 따라 운영된다. 완주군 고유 노선인 300번 버스는 주로 고산 이북 지역을 중심으로 운행하며, 시민여객이 운행을 담당하고 있다. 이 노선은 전주시의 시내버스 정기권 사용이 제한되며, 현재 완주군에서 마을버스로의 전환을 준비 중이다. 또한, 화산터미널을 기점으로 논산시로 향하는 연계 노선도 일부 운행되고 있다.

각 노선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1. 전주시 시내버스 노선

전주시와 완주군을 오가는 시내버스 노선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전주시의 시내버스 문서를 참고하라.

3. 2. 완주군 고유 시내버스(300번) 노선

고산 이북 지역만 운행하는 노선은 모두 번호가 '''300번'''으로 통일되어 있고 행선지만 변경되어 운행한다. 모든 노선은 시민여객에서 독점 운행한다. 이들 노선에는 예외적으로 전주 시내버스 정기권을 사용할 수 없다.

최근 완주군에서 이 노선을 매입하여 마을버스 전환을 준비하고 있다.

3. 2. 1. 전주 순환 노선

wikitext

노선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횟수출발시각
300고산터미널고산터미널고산면 - 남봉 - 율소리 - 완주군국민체육센터 - 용진원주아파트 - 하이트진로 전주공장 - 벽성대 - 용진읍 - 기린원 - 기린중학교 - 전주역 → 명주골네거리 → 동중모래내시장 → 진북전자상가 → 금암광장 → 금암시립도서관 → 사대부고사거리한국전기안전공사전주역 → 이후 역순2회07:20 16:40[3]


3. 2. 2. 소향리, 동상 방향 노선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횟수출발시각300고산터미널↔운용마을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읍내리 - 고산초등학교 - (원성재마을) - 원오산마을 - 동봉마을 - 휴양림입구 - (고산자연휴양림) - 신당 - 코아모텔 - 신상마을 - 대향 - 운용마을5회(고산 발)
06:40 09:00[4] 11:20[5]
14:35 17:40[6]

(성재리 발)[7]
09:15 11:25 17:45300고산터미널↔동상(거인마을)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고산새마을금고 - 고산성당 - 완주군창업보육센터 - 자포삼거리 -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삼기삼거리 - 종암마을입구 - 종암 - 전북푸른학교 - 안남마을 - 성림휴게소 - 가세기 - 신상마을 - 대향 - 운용마을 - 대아리전망대 - 유격교육대 - 장수상회 - 대아삼거리 - (대아수목원 - 산천마을 - 은천교 - 은천농장 - 은천마을 - 도유림) - 음수교 - (양화정휴게소 - 단지동 - 수만 - 입석 - 학동 - 다자미) - 특산물판매장 - 원신마을 - (용연계곡 - 용연 - (구수) - 국제산장 - 명지목 - (하검태)) - 거인마을6회(고산 발)
06:30[8] 09:10[9] 12:00[10] 14:00[11] 16:30[12] 18:30[13]

(동상 발)
07:20[14] 09:40[15] 13:00 15:00[16] 17:30 19:30


3. 2. 3. 비봉 방향 노선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횟수출발시각
(고산터미널 기준)300고산터미널↔대치고산 - 고산사거리 - 관덕 - 백현 - 구하 - 구중 - 구상 - 원수선 - 곤동 - 원이전 - 금곡 - 신기 - 담곡 - 농우 - 자암 - 백도교회 - 원백도 - 능암 - 현암 - 사치마을 - 사치 - 신복 - 문장 - 비봉종점 - 비봉파출소 - 소농 - 방곡 - 중리삼거리 - 중리 - 원내월 - 동리 - 명곡 - 천호동 - 산시 - 산수동 - 대치.대흥마을1회06:30[17]300고산터미널↔천호동 (본선)
대치 (분선)고산 - 서봉마을.서봉삼거리 - 율곡리 - (외율)(어우리 - 봉산 - 월암리 - 죽산 - 용동 - 탄광) - 사치 - 신복 - 문장 - 비봉종점 - 비봉파출소 - 소농 - 방곡 - 중리삼거리 - 중리 - 원내월 - 동리 - 명곡 - 천호동 (- 산시 - 산수동 - 대치.대흥마을)5회09:10[18] 12:00[19] 14:30[20] 16:30[21] 18:40[22]300고산터미널↔수선리(곤동)고산 - 서봉마을.서봉삼거리 - 율곡리 - (외율)(어우리 - 봉산 - 월암리 - 죽산 - 용동 - 탄광) - 사치 - 신복 - 문장 - 비봉종점 - 현암 - 원심 - 원백도 - 능암 - 자암 - 농우 - 담곡 - 신기 - 금곡 - 원이전 - 원수선 - 곤동3회10:10 13:20 17:10300고산터미널↔비봉종점고산 - 고산사거리 - 관덕 - 백현 - 구하 - 구중 - 구상 - 원수선 - 곤동 - 원이전 - 금곡 - 신기 - 담곡 - 농우 - 자암 - 백도교회 - 원백도 - 능암 - 현암 - 사치마을 - 사치 - 신복 - 문장 - 비봉종점2회08:10 15:30


3. 2. 4. 경천 방향 노선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횟수출발시각
(고산터미널 기준)300고산터미널↔화암사 (본선)
만수동 (분선)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고산새마을금고 - 고산성당 - 완주군창업보육센터 - 자포삼거리 -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하삼마을 - 삼기삼거리 - 상삼마을 - 화산삼거리 - 용동 - 상용마을 - (옥포) - 경천저수지 - 경천 - 경천면사무소 - 성지농원 - 원가천 - 원용복 - 구재마을 - 요동 - 동향동.화암사 - (완주군독립기념관 - 만수동)6회07:30[23], 09:20, 11:30, 13:00[24], 15:10, 18:20[25]


3. 2. 5. 화산 방향 노선

고산터미널화산정류소 사이 구간은 모든 300번 버스가 공통으로 운행하며, 약 10분에서 15분 정도 걸린다. 버스는 화산정류소에 도착한 뒤, 정해진 시간에 맞춰 각 지선 운행을 시작한다.[26][27][28][29][30] 시간대별 경유지는 각 노선 정보의 주석을 참고해야 한다. 삼전리행 노선은 완주군 경계를 벗어나 하차할 경우 시계외 추가 요금이 발생한다.

노선
번호
운행구간경유지운행
횟수
출발시각
(고산터미널 기준)
300고산터미널승치 (본선)
남동 (분선)
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고산새마을금고 - 고산성당 - 완주군창업보육센터 - 자포삼거리 -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하삼마을 - 삼기삼거리 - 상삼마을 - 화산삼거리 - 궁평마을 - 원종삼거리 - (옥포) - 원종마을 - 새터 - 임전마을 - 와룡리 - 라복마을 - 창곡마을 - 정자마을 - 평리 - 신공 - 화산파출소 - 화산면사무소 - 화산정류소 - 수락사거리 - (예곡 - 덕동) - 수락 - 화산저수지 - 미남 - 미서 - 원승치 - (거사 - 남동)4회06:15, 10:00, 12:40[26], 17:40
300고산터미널남동고산터미널 - 고산중학교 - 소농.관덕 - 백현 - 구하 - 구중 - 구상 - 원수선 - 곤동 - 송치 - 대서 - 정자 - 신공 - 화산정류소 - 수락사거리 - (예곡 - 덕동) - 수락 - 화산저수지 - 미남 - 미서 - 원승치 - 거사 - 남동2회07:15, 16:25[27]
300고산터미널대치 (오전)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고산새마을금고 - 고산성당 - 완주군창업보육센터 - 자포삼거리 -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하삼마을 - 삼기삼거리 - 상삼마을 - 화산삼거리 - 궁평마을 - 원종삼거리 - (옥포) - 원종마을 - 새터 - 임전마을 - 와룡리 - 라복마을 - 창곡마을 - 정자마을 - 평리 - 신공 - 화산파출소 - 화산면사무소 - 화산정류소 - 화산면사무소 - 화산파출소 - 대평 - 가정 - 우월삼거리 - (봉황 - 우월리 - 원우 - 병암 - 안검단 - 밀파마을.세인고등학교 - 누하마을 - 금평 - 상호마을) - 용복 - 선동 - 대흥 - 대치2회06:20, 09:20[28]
상호 (오후)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고산새마을금고 - 고산성당 - 완주군창업보육센터 - 자포삼거리 -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하삼마을 - 삼기삼거리 - 상삼마을 - 화산삼거리 - 궁평마을 - 원종삼거리 - (옥포) - 원종마을 - 새터 - 임전마을 - 와룡리 - 라복마을 - 창곡마을 - 정자마을 - 평리 - 신공 - 화산파출소 - 화산면사무소 - 화산정류소 - 화산면사무소 - 화산파출소 - 대평 - 가정 - 우월삼거리 - (용복 - 선동 - 대흥 - 대치) - 봉황 - 우월리 - 원우 - 병암 - 안검단 - 밀파마을.세인고등학교 - 누하마을 - 금평 - 상호마을2회14:20, 17:00
300고산터미널대치 (오전)고산터미널 - 고산중학교 - 소농.관덕 - 백현 - 구하 - 구중 - 구상 - 원수선 - 곤동 - 송치 - 대서 - 정자 - 신공 - 화산정류소 - 화산면사무소 - 화산파출소 - 대평 - 가정 - 우월삼거리 - (봉황 - 우월리 - 원우 - 병암 - 안검단 - 밀파마을.세인고등학교 - 누하마을 - 금평 - 상호마을) - 용복 - 선동 - 대흥 - 대치1회10:35
상호 (오후)고산터미널 - 고산중학교 - 소농.관덕 - 백현 - 구하 - 구중 - 구상 - 원수선 - 곤동 - 송치 - 대서 - 정자 - 신공 - 화산정류소 - 화산면사무소 - 화산파출소 - 대평 - 가정 - 우월삼거리 - (용복 - 선동 - 대흥 - 대치) - 봉황 - 우월리 - 원우 - 병암 - 안검단 - 밀파마을.세인고등학교 - 누하마을 - 금평 - 상호마을1회12:00
300고산터미널석천 (본선)
삼전리 (분선)
덕동 (분선)
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고산새마을금고 - 고산성당 - 완주군창업보육센터 - 자포삼거리 -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하삼마을 - 삼기삼거리 - 상삼마을 - 화산삼거리 - 궁평마을 - 원종삼거리 - (옥포) - 원종마을 - 새터 - 임전마을 - 와룡리 - 라복마을 - 창곡마을 - 정자마을 - 평리 - 신공 - 화산파출소 - 화산면사무소 - 화산정류소 - 화산면사무소 - 대평 - 너덜 - 봉산 - 돈의 - 수실.사료공장 - 부현마을 - 덕동재 - 학정마을 - 석천마을 - 석천종점 - (삼전2리)4회08:30[29], 11:30[30], 13:20, 15:20
300고산터미널삼전리고산터미널 - 고산중학교 - 소농.관덕 - 백현 - 구하 - 구중 - 구상 - 원수선 - 곤동 - 송치 - 대서 - 정자 - 신공 - 화산정류소 - 화산면사무소 - 대평 - 너덜 - 봉산 - 돈의 - 수실.사료공장 - 부현마을 - 덕동재 - 학정마을 - 석천마을 - 석천종점 - 삼전2리2회06:25, 18:20


3. 2. 6. 운주 방향 노선

번호운행구간경유지운행횟수출발시각
(고산터미널 기준)300고산터미널↔대둔산휴게소[31]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고산새마을금고 - 고산성당 - 완주군창업보육센터 - 자포삼거리 -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하삼마을 - 삼기삼거리 - 상삼마을 - 화산삼거리 - 용동 - 상용마을 - 경천저수지 - 경천 - 경천면사무소 - 성지농원 - 원가천 - 원용복 - 신덕마을 - 석장 - 가림농원 - 구제리 - (원구제 - 먹방입구 - 백석) - 수청 - 삼육식품 - 운주동부교회.운주계곡 - 운주터미널 - 운주초등학교 - 운주중학교 - 덕동 -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 내장선 - 광두소 - 운주계곡 - 평촌 - 고산촌 - 당헌 - (주암마을 - 서평 - 산북 - 신복) - 재실 - 재실입구 - 대둔산터미널(하행) - 배티재등산로입구.용문골 - 대둔산휴게소8회(고산 발)
05:50[32] 07:25[33] 08:30 10:00[34] 12:00 14:30[35] 16:20[36] 18:20

(대둔산 발)[37]
06:40 08:25 09:15[38] 10:55[39] 12:45[40] 15:20[41] 17:15[42] 19:00300고산터미널↔피묵리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고산새마을금고 - 고산성당 - 완주군창업보육센터 - 자포삼거리 -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하삼마을 - 삼기삼거리 - 상삼마을 - 화산삼거리 - 용동 - 상용마을 - 경천저수지 - 경천 - 경천면사무소 - 성지농원 - 원가천 - 원용복 - 신덕마을 - 석장 - 가림농원 - 구제리 - 수청 - 삼육식품 - 운주동부교회.운주계곡 - 운주터미널 - 운주초등학교 - 운주중학교 - 덕동 -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 장선리 - 용계원 - (옥배) - 복동 - 삼거마을 - 원용 - 원고당 - 선녀골유원지 - 성바위 - 하나원리조트 - 수룡가든 - 고당 - 피묵리4회(고산 발)
06:15 11:00[43] 13:20[44] 15:35[45]

(피묵리 발)[46]
07:00[47] 11:45 14:15 16:30300고산터미널↔안심.엄목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고산새마을금고 - 고산성당 - 완주군창업보육센터 - 자포삼거리 -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하삼마을 - 삼기삼거리 - 상삼마을 - 화산삼거리 - 용동 - 상용마을 - 경천저수지 - 경천 - 경천면사무소 - 성지농원 - 원가천 - 원용복 - 신덕마을 - 석장 - 가림농원 - 구제리 - 수청 - 삼육식품 - 운주동부교회.운주계곡 - 운주터미널 - 운주초등학교 - 운주중학교 - 덕동 -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 장선리 - 용계원 - (옥배) - 복동 - 삼거마을 - 원용 - 원고당 - 선녀골유원지 - 성바위 - 하나원리조트 - 수룡가든 - 고당 - 피묵리 - (이후 운주터미널까지 회차) - 샘물가든 - 안심사.안심마을 (- 완창리 - 엄목)2회09:00[48] 17:20[49]300고산터미널↔양촌고산터미널 - 고산시장 - 고산새마을금고 - 고산성당 - 완주군창업보육센터 - 자포삼거리 - 완주군농업기술센터 - 하삼마을 - 삼기삼거리 - 상삼마을 - 화산삼거리 - 용동 - 상용마을 - 경천저수지 - 경천 - 경천면사무소 - 성지농원 - 원가천 - 원용복 - 신덕마을 - 석장 - 가림농원 - 구제리 - 수청 - 삼육식품 - 운주동부교회.운주계곡 - 운주터미널 - 샘물가든 - 안심사.안심마을 - 완창리 - 엄목(회차) - 완창리 - 안심사.안심마을 - 샘물가든 - 운주터미널 - 샘물가든 - 완창리 - 신기2리 - 신기1리 - 채광리 - 채광1리 - 채광4리 → 인천4리 → 양촌하나로마트 → 양촌농협 → 양촌유원지 → 채광4리 이후 역순1회06:45[50]


3. 3. 논산시 연계 노선

번호운행구간경유지배차
간격비고213화산터미널↔논산시 논산역우체국, 화지시장, 오거리, 논산공고, 논산여중고, 백제병원, 시청, 논산여상, 논산고, 건양대입구, 은진, 월야A, 시외버스정류장, 연무고속버스터미널, 연무농협, 연무읍사무소, 육군훈련소, 입영심사대, 신촌, 황화정, 고내곡1회1회 왕복 운행
60분 소요315화산터미널↔논산시 논산역우체국, 화지시장, 오거리, 시외버스터미널, 관촉사거리, 아호교, 부적, 농업기술센터, 돈암서원, 충남인터넷고, 농산물시장, 연산역, 연산중, 연산구사거리, 한민대앞, 명암리, 신흥리(병암리), 건양중고, 양촌, 신기리3회3회 왕복 운행
1시간 30분 소요418화산터미널↔논산시 논산역우체국, 화지시장, 오거리, 시외버스터미널, 관촉사거리, 기민중(보건소옆), 관촉사, 성평리, 성덕리, 탑정호입구, 종연리, 등리, 강청사거리, 강촌리, 가야곡, 삼전, 화산 (연무 방면으로 회차)1회1회 왕복 운행
논산 방면 2회 운행
전주 시민여객과 공동배차
55분 소요


4. 마을버스 노선

대중교통 접근이 어려운 지역 주민들의 이동 편의를 위해 완주군에서 직접 운영하는 마을버스이다. 2021년 6월 이서면 지역 운행을 시작으로, 2022년 2월에는 상관면, 소양면, 구이면 지역으로 확대되었다. 2024년 2월 27일부터는 삼례읍 지역에서도 운행을 시작했으며, 같은 해 하반기에는 용진읍, 봉동읍, 고산면 지역에도 추가로 운행될 예정이다. 완주군 마을버스의 애칭은 '''부름부릉 마을버스'''이다.

마을버스 시간표는 완주군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4. 1. 이서 지역 마을버스

번호운행구간경유지일일
운행
횟수비고이서20이서회차지↔원마다리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모고지 - 애통리 - 송삼마을 - (산정리 - 송삼마을) - 신흥리 - 원마다리8.5회오전시간대 이서 방향 차량은 산정리 경유
오후시간대 원마다리 방향 차량은 산정리 경유이서21이서회차지↔모산(본선)
용지(분선)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모고지 - 애통리 - 불노리 - 부교마을 - 모산종점 - (마교마을 - 용지중 - 용지종점)7.5회일 2회 용지까지 연장이서22이서회차지↔원동마을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혁신에코르3단지 - 혁신에코르2단지 - 지사울공원 - 해교리입구 - 지방자치인재개발원 - 농원삼거리 - 반교리 - (← 대농 ← 정농마을 ←) - 원동9회일 3회 이서23번 지원운행이서23이서회차지↔대농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혁신에코르3단지 - 혁신에코르2단지 - 지사울공원 - 해교리입구 - 지방자치인재개발원 - 농원삼거리 - 정농마을 - (← 원동 ← 반교리 ←) - 대농8.5회일 3회 이서22번 지원운행이서24이서회차지↔구암마을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모고지 - 애통리 - 신흥마을 - 서둔마을 - 동둔마을 - 구암8.5회막차 시간에는 구암마을까지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애통리에서 중간 종료한다.이서25이서회차지↔대문안이서회차지 - 이서면사무소 - 신마산 - 여차마을 - (돌꼭지 - 새금동 - 원금평 - 신정) - 삼태동 - 대문안종점9회양방향 일 4회 신정마을 경유
막차 시간에는 신정, 대문안으로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돌꼭지에서 중간 종료한다.이서26이서회차지↔앵곡
(콩쥐팥쥐마을)이서회차지 - 신지산 - 콩쥐팥쥐마을6회이서27이서회차지↔삼례역이서회차지 - 혁신에코르3단지 - 국립농업과학원 - 한국식품연구원 - 한국전기안전공사 - 갈동마을 - 호남제일문 - 여의동우체국 - 비비정 - 삼례터미널 - 전북하이텍고등학교 - 삼례역7.5회전주 지역에서는 하차만 가능하다.


4. 2. 삼례 지역 마을버스

번호운행구간경유지일일
운행
횟수비고삼례30삼례역둔산코아루2차삼례문화예술촌 - 삼례시장 - 삼례터미널 - 삼례읍 행정복지센터 - 서여마을 - 삼례주공 - 농원종점 - 완주군공설운동장 - 별산리 - 석전리 - 삼봉지구 - 완주소방서 - 원수계리 - 중앙공원 - 현대자동차 출고장 - 뷰텍8회오전 시간대 삼례 방향 농원 경유
오후 시간대 둔산리 방향 농원 경유삼례31삼례역둔산코아루2차삼례문화예술촌 - 삼례시장 - 삼례터미널 - 삼례읍 행정복지센터 - 완주군청소년수련관 - 완주군공설운동장 - 별산리 - 학동마을 - 원구암 - 청등마을 - 신정리 - 삼봉지구 - 완주소방서 - 원수계리 - 중앙공원 - 배매산 - 새완주병원8회삼례32삼례역비봉면 종점삼례문화예술촌 - 삼례시장 - 삼례터미널 - 삼례읍 행정복지센터 - 완주군청소년수련관 - 완주군공설운동장 - 별산리 - 석전리 - 삼봉지구 - 완주소방서 - 배매산 - 새완주병원 - 둔산코아루1차 - 둔산코아루2차 - 백제대 - 비봉8회삼례 방향 첫차는 전주공고까지 운행
비봉 방향 첫차는 삼례터미널 출발삼례33삼례역지암마을삼례문화예술촌 - 삼례시장 - 삼례터미널 - 삼례읍 행정복지센터 - 완주군청소년수련관 - 완주군공설운동장 - 별산리 - 석전리 - 후와리 - 상와리 - 송정마을 - 유리마을 - 상신마을 - 신서마을 - 고천마을 - 갈리마을 - 신덕마을 - 동촌마을 - 신상마을 - 봉동읍 회차지 - 낙평리 - 봉동주공 - 봉동농협 - 봉동전통시장 - 완주경찰서 - 마그내다리 - 하이트진로 - 서당리 - 구만리 - 운곡마을 - 완주군청8회삼례34삼례역지암마을삼례문화예술촌 - 삼례시장 - 삼례터미널 - 삼례읍 행정복지센터 - 완주군청소년수련관 - 완주군공설운동장 - 별산리 - 석전리 - 삼봉지구 - 완주소방서 - 하구미리 - 상구미리 - 배을마을입구 - 신중리 - 봉동신기마을 - 봉동농협 - 봉동전통시장 - 낙평네거리 - 봉동주공 - 마그내다리 - 하이트진로 - 서당리 - 구만리 - 운곡마을 - 완주군청8회삼례34-1삼례역(본선)
해전(분선)지암마을(해전-후상-후정-삼례역-) 삼례문화예술촌 - 삼례시장 - 삼례터미널 - 삼례읍 행정복지센터 - 완주군청소년수련관 - 완주군공설운동장 - 별산리 - 석전리 - 삼봉지구 - 완주소방서 - 하구미리 - 상구미리 - 배을마을입구 - 신중리 - 봉동신기마을 - 봉동농협 - 봉동전통시장 - 완주경찰서 - 낙평리 - 봉동주공 - 마그내다리 - 하이트진로 - 서당리 - 구만리 - 운곡마을 - 완주군청8회왕복 3회 해전리 발착삼례35삼례역고산터미널삼례문화예술촌 - 삼례시장 - 삼례터미널 - 삼례읍 행정복지센터 - 완주군청소년수련관 - 완주군공설운동장 - 별산리 - 석전리 - 삼봉지구 - 완주소방서 - 하구미리 - 상구미리 - 배을마을입구 - 신중리 - 봉동신기마을 - 봉동농협 - 봉동전통시장 - 완주경찰서 - 낙평리 - 봉동주공 - 마그내다리 - 용복마을 - 완주국민체육센터 - 학다리마을 - 율소리 - 신덕마을 - 고산신기마을 - 봉곡 - 어우가름재 - 어우리 - 율곡리 - 원산마을 - 서봉마을 - 고산고 입구 - 고산농협 - 고산터미널7회삼례36삼례역고산터미널삼례문화예술촌 - 삼례시장 - 삼례터미널 - 삼례읍 행정복지센터 - 완주군청소년수련관 - 완주군공설운동장 - 별산리 - 석전리 - 삼봉지구 - 완주소방서 - 하구미리 - 상구미리 - 배을마을입구 - 신중리 - 봉동신기마을 - 봉동농협 - 봉동전통시장 - 낙평네거리 - 봉동주공 - 낙평리 - 마그내다리 - 용복마을 - 완주국민체육센터 - 학다리마 Tarifi - 율소리 - 신덕마을 - 고산신기마을 - 봉곡 - 어우가름재 - 어우리 - 율곡리 - 원산마을 - 서봉마을 - 고산고 입구 - 고산농협 - 고산터미널7회고산 방향 막차는 완주국민체육센터 종착


4. 3. 상관 지역 마을버스

번호운행구간경유지일일
운행
횟수비고상관70상관로컬푸드민목리상관주민센터 - 상관농협 - 상원신마을 - 수월마을 - 대판마을 - 모정마을 - 원의암마을 - 의암마을 - 계월리 - 민목리8회민목리 출발 첫차와 상관 출발 막전차는 정수리를 경유한다.
상관 출발 막차는 정수리로 가는 승객이 있을 경우, 정수리를 경유하고 민목리를 경유하여 소양까지 연장운행 한다.상관76상관주민센터어두마을상관주민센터 - 상관농협 - 한일장신대 - 어두마을3회상관77상관로컬푸드대흥마을상관주민센터 - 상관농협 - 상원신마을 - 수월마을 - 마치삼거리 - (대판마을 - 원의암마을 - 의암마을 - 계월리 - 민목리) - 전통춤전수관 - 용정리 - 마치신덕마을 - 마치마을 - 정수리 - 대흥마을7.5회막차 1회 민목리 경유


4. 4. 소양 지역 마을버스

번호운행구간경유지일일
운행
횟수비고소양50소양회차지↔봉동주공아파트소양 - 소양작은도서관 - 소양면 행정복지센터 - 죽절리 - 단암사 - 마월리 - 용교 - 상삼마을 - 하이삼거리 - 구억정미소 - 구억마을 - 소양교 - 용진 - 운교마을 - 봉서로 상운리 - 도계마을 - 원간중리 - 두억마을 - 신봉마을 - 지암마을 - 완주군청 - 구만리 - 서당리 - 하이트진로 - 용진원주아파트 - 용진대영아파트 - 완주군국민체육센터 - 봉동신진맨션아파트 - 봉동전통시장 - 낙평네거리 - 봉동주공아파트6회소양82-1상망표→앞멀상망표 - 하망표 - 소양 - 소양면 행정복지센터 - 소양 - 인덕마을입구 - 전북체육고.마수리 - 마수마을 - 전북교통문화연수원 - 송광사.송광초교 - 백운암마을 - 오성리 - 오성풍류학교 - 위봉산성 - 위봉마을 - 위봉폭포 - 지향마을 - (입석 - 학동 - 다자미) - 수만마을 - 단지 - 앞멀7.5회일부 시간대 학동 경유소양82-2상망표←앞멀앞멀 - 단지 - 수만마을 - 지향마을 - 위봉폭포 - 위봉마을 - 위봉산성 - 오성풍류학교 - 오성리 - 백운암마을 - 송광사.송광초교 - 전북교통문화연수원 - 마수마을 - 전북체육고.마수리 - 인덕마을입구 - 소양 - 소양면 행정복지센터 - 소양 - 하망표 - 상망표7회일부 시간대 학동 경유소양83소양회차지↔거인마을소양회차지 - 소양 - 소양면 행정복지센터 - 소양 - 인덕마을입구 - 전북체육고.마수리 - 신원리 - 해월리 - 화심 - 새터 - 하리 - 대승리입구 - 대승리 - 중리 - 상리 - 중리 - 대승리 - 대승리입구 - 원암골 - 밤티마을 - 사평리 - 연동 - 신사봉 - 솔바우농원 - 원사봉 - 묵계 - 거인마을7회막전차는 상리까지만 운행
막차는 거인마을까지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에만 상리까지 운행소양84일임리↔인덕마을일임리 - 일임교 - 승덕마을 - 삼태마을 - 토정마을 - 명덕리 - 소양서초교 - (평리마을) - 단암사 - 죽절리 - 소양 - 소양작은도서관 - 소양면 행정복지센터 - 인덕마을입구 - 용연마을 - 전북체육고.마수리 - 봉덕교삼거리 - 마수마을 - 전북교통문화연수원 - 대흥리 - 송광사 - (완주대대) - 인덕마을9회각 방향별 완주대대 경유 1회
인덕마을 방향 평리마을 경유 2회
일임리 방향 평리마을 경유 4회소양85용문사↔응암용문사 - 반곡삼거리 - (원신원) - 신원삼거리 - 신원리 - (천지마을 - 삼중리 - 삼중새터 - 두목마을 - 신촌새터 - 원신촌마을 - 월평 - 월상리) - 화심온천 - 화심교회 - (상리) - 화심 - 해월리 - 신왕리 - 왕정리 - 전북체육고.마수리 - 용안마을 - 인덕마을입구 - 소양 - 소양면 행정복지센터 - 죽절리 - 단암사 - 명덕교 - 신교리 - 율곡 - 갈전 - 신봉마을 - 응암8회응암 방향 원신원 경유 4회, 월상리 경유 2회, 상리 경유 1회
응암방향 원신원 경유 2회
막차는 일임리까지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명덕교에서 중간 종료한다.소양86분토↔월상리분토 - 상분토 - 하분토 - 죽절리 - 소양면 행정복지센터 - 소양 - 인덕마을입구 - 용안마을 - 전북체육고.마수리 - 왕정리 - 신왕리 - 해월리 - 화심 - 화심교회 - 화심온천 - 신원리 - (신원삼거리 - 반곡삼거리 - 용문사) - 천지마을 - 삼중리 - 삼중새터 - 두목마을 - 신촌새터 - 원신촌마을 - 월평 - 월상리8회분토방향 용문사 경유 2회
분토 출발 막차는 승객이 없을 경우, 죽절경로당에서 중간 종료한다.
소양 출발 막차는 약암, 상리, 용문사, 월상리까지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화심에서 중간 종료한다.소양87-1다리목→약암다리목 - 다리경로당 - 원암마을 - 봉덕마을 - 전북체육중 - 전북체육고.마수리 - 인덕마을입구 - 용안마을 - 소양 - 소양면 행정복지센터 - 소양 - 용안마을 - 인덕마을입구 - 전북체육고.마수리 - 왕정리 - 신왕리 - 해월리 - 화심 - 약암입구 - 원화심마을 - 유상마을 - 성지동 - 약암8회소양87-2다리목←약암약암 - 성지동 - 유상마을 - 원화심마을 - 약암입구 - 화심 - 해월리 - 신왕리 - 왕정리 - 전북체육고.마수리 - 인덕마을입구 - 용안마을 - 소양 - 소양면 행정복지센터 - 소양 - 용안마을 - 인덕마을입구 - 전북체육고.마수리 - 전북체육중 - 봉덕마을 - 원암마을 - 다리경로당 - 다리목8회


4. 5. 구이 지역 마을버스

번호운행구간경유지일일
운행
횟수비고구이90전북도립미술관↔원안덕
탑선도립미술관 - 상학 - 하학 - 구이중 - 구이면사무소 - 구이초교 - 동성마을 - 성덕교 - 마음마을 - 교동마을 - 구이신기마을 - 대덕마을 - 재실마을 - 매산교 - (장파마을 - 마치마을 - 탑선) - 안덕신기마을 - 원안덕마을10.5회원안덕 출발 후 탑선을 경유하거나, 그 반대 순서로 운행하기도 한다.
막차 시간에는 원안덕이나 탑선으로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대덕마을에서 중간 종료한다.구이91전북도립미술관↔막은댐도립미술관 - 상학 - 하학 - 구이중 - 구이면사무소 - 구이초교 - 동성마을 - 성덕교 - 마음마을 - 교동마을 - 구이신기마을 - 대덕삼거리 - 대덕마을 - 소모마을 - 정자리 - 정자리삼거리 - 신정리 - 원백여 - (상용마을 - 노정마을 - 초당골 - 막은댐 - (마암리 - 운암교 - 마암초교 - 여우치 - 하운암) - ((가는정이 - 장작골))11회일부 시간대 하운암 또는 장작골 출발
막차 시간에는 막은댐으로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정자마을에서 중간 종료한다.구이92전북도립미술관↔막은댐도립미술관 - 상학 - 하학 - 구이중 - 구이면사무소 - 구이초교 - 동성마을 - 성덕교 - 마음마을 - 교동마을 - 구이신기마을 - 대덕삼거리 - 대덕마을 - 소모마을 - 정자리 - 정자리삼거리 - 대모 - 상용마을 - 노정마을 - 초당골 - 막은댐 - (마암리 - 운암교 - 마암초교 - 여우치 - 하운암) - (가는정이)10회하운암 출발 1회
도립미술관 방향 원백여 경유 1회
가는정이 출발 1회
막차 시간에는 대모나 막은댐으로 가는 승객이 없을 경우, 정자마을에서 중간 종료한다.


5. 행복콜버스 (수요응답형 버스)

완주군에서 운영하는 수요응답형 버스인 행복콜버스는 상관면, 이서면, 구이면, 소양면, 동상면 내 마을 주민들의 이동 편의를 위해 도입되었다. 각 마을에서 해당 면의 소재지나 주요 거점 지역까지 운행하며, 마을과 마을 사이를 직접 오가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용 요금은 1회 탑승당 500KRW이다. 버스를 이용하려면 최소 출발 1시간 전에 미리 예약해야 한다. 택시처럼 원하는 장소에서 타고 내릴 수 없고, 지정된 정류장에서만 승하차가 가능하다.

자세한 운행 정보는 아래 완주군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정보
[2] 정보
[3] 정보
[4] 경유
[5] 경유
[6] 경유
[7] 정보
[8] 경유
[9] 경유
[10] 경유
[11] 경유
[12] 경유
[13] 경유
[14] 경유
[15] 경유
[16] 경유
[17] 경유
[18] 경유
[19] 경유
[20] 경유
[21] 연장
[22] 경유
[23] 연장
[24] 경유_연장
[25] 경유_연장
[26] 경유_연장
[27] 경유
[28] 정보
[29] 경유_행선지
[30] 연장
[31] 정보
[32] 경유
[33] 경유
[34] 경유
[35] 경유
[36] 기타 신복 경유
[37] 기타 대둔산-운주 간 15~30분 소요되며, 운주터미널에서 지정된 시각에 따라 고산으로 돌아간다.
[38] 기타 백석 경유
[39] 기타 신복 경유
[40] 기타 신복 경유
[41] 기타 신복 경유
[42] 기타 백석 경유
[43] 기타 옥배 경유
[44] 기타 옥배 경유
[45] 기타 옥배 경유
[46] 기타 피묵리 착발 노선은 총 6왕복 운행한다. 그중 피묵리 경유 안심(엄목)행 2회는 여기서는 생략한다. 생략된 2회는 피묵리에서 운주까지 회차하고 안심(엄목) 경유 후 고산으로 돌아간다고 이해하면 된다. 아래의 안심(엄목)행의 출발시각에 피묵리 회차시각을 주석으로 달아두었다.
[47] 기타 옥배 경유
[48] 기타 09:45 피묵리 회차 후 옥배 경유
[49] 기타 피묵리로 가는 도중 옥배 경유. 18:10 피묵리 도착 및 회차. 이후 안심사까지만 운행하고 고산으로 돌아간다.
[50] 기타 엄목 회차 후, 운주터미널에서는 07:30 출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